PLAY l Fragments: Reconstructing History and Memory in East Asia, performance, trailer, 4minutes 27 seconds
Fragments: Reconstructing History and Memory in East Asia, performance Trailer, 2minutes 3 seconds, Paiknam art centre, Han yang University, Seoul, Korea, 2016 May 19
「파편: 동아시아의 역사와 기억 재구성, 퍼포먼스, 트레일러, 2분 3초, 백남아트홀, 한양여대 교수회관, 2016년 5월19일
Multimedia Art Performance:
Fragments: Reconstructing History and Memory in East Asia, is an interdisciplinary art project that attempts to reconcile past histories with the present through an art and video installation as well as sound story telling. In the waning days of World War II, a Japanese cargo vessel was sunk by U.S. forces off the coast of Gunsan, Korea, taking with it 3.3 tons of Chinese copper-nickel coins minted during the 1920s-1940s. The wooden ship, its contents, and the stories of its ill-fated crew remained lost on the muddy ocean floor for more than 65 years until the ship was found by a South Korean salvage company in 2011. To the casual observer, the most interesting fact about the finding is the coins, which are said to have little value. Engraved with the face of Sun Yat-sen, the coins constitute one of the key materials in this video work, evoking the Chinese leader’s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These corroded chunks of base metal will be complemented by a video that traces their history and attempts to tell the reconstructed stories of two individuals brought together by larger economic forces—a young Japanese sailor and a young American pilot—and accompanied by background music featuring American jazz music from the 1940s.
「파편: 동아시아의 역사와 기억 재구성(Fragments: Reconstructing History and Memory in East Asia)」은 예술과 비디오 설치뿐만 아니라 내레이션을 통해 현재와 과거 역사 간의 화해를 시도하는 멀티미디어 전시이다. 2차 세계 대전이 끝나갈 무렵 일본 함대가 한국 군산 앞바다에서 미군의 공격으로 격침되었다. 함대가 침몰하면서 1920년대부터 1940년대 사이에 니켈과 구리로 주조했던 3.3톤 가량의 중국 동전이 바다에 가라앉았다. 2011년 한국의 한 구난회사가 이 선박을 발견하기까지 해당 목선의 난파 사건, 불운한 선원들의 이야기는 65년이 넘도록 해저에 묻혀있었다. 실종되었던 배를 발견하면서 사람들이 가장 관심을 가졌던 부분은 침몰되었던 동전인데 화폐로서의 가치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쑨원의 얼굴이 새겨져 있는 이 동전들은 본 영상 작품의 주요 소재 중 하나로 중국 지도자들의 ‘삼민주의’를 연상시킨다. 동전의 이력을 추적하는 영상, 동전에 연루된 한 일본인 선원과 미국인 비행사 이 두 청년의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들려주려는 시도와 라이브 음악으로 이와 같은 부식된 비금속 덩어리들을 보완할 것이다. 한국과 미국 음악가들이 1940년대 미국 재즈 음악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연주할 것이다.
PLAY l Fragments: Reconstructing History and Memory in East Asia, performance, trailer, 4minutes 27 seconds
Fragments: Reconstructing History and Memory in East Asia, performance Trailer, 2minutes 3 seconds, Paiknam art centre, Han yang University, Seoul, Korea, 2016 May 19
「파편: 동아시아의 역사와 기억 재구성, 퍼포먼스, 트레일러, 2분 3초, 백남아트홀, 한양여대 교수회관, 2016년 5월19일
Multimedia Art Performance:
Fragments: Reconstructing History and Memory in East Asia, is an interdisciplinary art project that attempts to reconcile past histories with the present through an art and video installation as well as sound story telling. In the waning days of World War II, a Japanese cargo vessel was sunk by U.S. forces off the coast of Gunsan, Korea, taking with it 3.3 tons of Chinese copper-nickel coins minted during the 1920s-1940s. The wooden ship, its contents, and the stories of its ill-fated crew remained lost on the muddy ocean floor for more than 65 years until the ship was found by a South Korean salvage company in 2011. To the casual observer, the most interesting fact about the finding is the coins, which are said to have little value. Engraved with the face of Sun Yat-sen, the coins constitute one of the key materials in this video work, evoking the Chinese leader’s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These corroded chunks of base metal will be complemented by a video that traces their history and attempts to tell the reconstructed stories of two individuals brought together by larger economic forces—a young Japanese sailor and a young American pilot—and accompanied by background music featuring American jazz music from the 1940s.
「파편: 동아시아의 역사와 기억 재구성(Fragments: Reconstructing History and Memory in East Asia)」은 예술과 비디오 설치뿐만 아니라 내레이션을 통해 현재와 과거 역사 간의 화해를 시도하는 멀티미디어 전시이다. 2차 세계 대전이 끝나갈 무렵 일본 함대가 한국 군산 앞바다에서 미군의 공격으로 격침되었다. 함대가 침몰하면서 1920년대부터 1940년대 사이에 니켈과 구리로 주조했던 3.3톤 가량의 중국 동전이 바다에 가라앉았다. 2011년 한국의 한 구난회사가 이 선박을 발견하기까지 해당 목선의 난파 사건, 불운한 선원들의 이야기는 65년이 넘도록 해저에 묻혀있었다. 실종되었던 배를 발견하면서 사람들이 가장 관심을 가졌던 부분은 침몰되었던 동전인데 화폐로서의 가치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쑨원의 얼굴이 새겨져 있는 이 동전들은 본 영상 작품의 주요 소재 중 하나로 중국 지도자들의 ‘삼민주의’를 연상시킨다. 동전의 이력을 추적하는 영상, 동전에 연루된 한 일본인 선원과 미국인 비행사 이 두 청년의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들려주려는 시도와 라이브 음악으로 이와 같은 부식된 비금속 덩어리들을 보완할 것이다. 한국과 미국 음악가들이 1940년대 미국 재즈 음악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연주할 것이다.